카테고리 없음

10년 후 최고의 직업은? 향후 직업 트렌드

infoguru 2015. 4. 21. 17:48

요즘 청년 일자리 문제가 사회 문제가 되다시피 했는데요. 학력 인플레가 심해지고 비정규직이 늘어나면서 그런 현상이 더 가속화하는 경향을 보이는데요.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와 더불어 정부가 가장 중점적으로 나서서 해결해야 할 문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오늘 고용정보원에서 <2015년 한국직업전망> 자료를 내놨는데요. 현재 대학생이나 취업준비생, 길게 보자면 고등학생들도 장래 직업을 선택할 때 참고할 만한 자료라고 생각되어 가져와봤습니다.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좋은 것은 뭐니뭐니 해도 자신이 그 일을 하면서 가장 보람을 느끼고 행복한 직업이라고 생각하는데요. 그와 더불어 그 직업이 인기가 있고 각 분야에서 다양한 수요가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죠?

 

아래 표는 <직업별 고용전망> 자료인데요. '한국직업전망을 위한 정성적 전망 조사(2014'와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 재직자 조사(2014)' 샘플 통합 데이터와 '중장기 인력수급전망'의 10년 전망 증감률을 비교한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전문가들이 논의를 거쳐 최종 확정한 자료입니다. 본인의 직업 선택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와 함께 고용정보원은 향후 10년 동안 우리나라 직업세계에 나타날 '10대 직업 트렌드'를 분석했는데요. 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엔지니어, 전문직 고용 증가 및 전문화 : 특히 로봇, 의료/정밀기기, 3D 프린터 등 첨단분야

 

2. 환경 및 신재생에너지 관련 직종 고용 증가

 

3. 창조산업 관련 직종 고용 증가 : 생활수준 향상으로 각종 여가문화 수요 증가, 한류 확산 등에 힘입어 방송, 공연, 게임, 영화 등 창조산업(한 마디로 "엔터테인먼트 산업") 발전

 

4. 미용, 건강 관련 직종 고용 증가 및 전문화 : 외모와 건강에 대한 관심

 

5. 안전, 치안, 보안 관련 직종의 고용 증가

 

6. 개인서비스 및 반려동물 관련 직종 고용 증가 및 전문화 : 맞벌이와 1인 가구 증가 영향

 

7.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직업구조 변화 : 학령인구 감소로 교수와 교사 고용은 다소 감소하고 고령화로 의료 복지 관련 직종은 증가 전망

 

8. 온라인 거래 및 교류 방식 확산으로 직업구조 변화

 

9. 기계화, 자동화에 따른 생산기능직 고용 감소

 

10. 3D 직종 중심으로 근로자의 고령화와 청년층의 취업기피로 인력난 가중 : 아마도 외국인노동자들이 이 빈자리를 채울 듯...

 

이상 향후 직업 트렌드를 살펴보았는데요. 100세 시대에는 60세 이상 고령자들도 취업시장에서는 예외가 아닙니다. 나이 불문 향후 자신의 직업에 대해서 한번쯤 깊이 고민해보시기 바랍니다.